콘텐츠목차

「장수샘 전설」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1234
한자 將帥-傳說
영어음역 Jangsusaem Jeonseol
영어의미역 Legend of Longivity Spring
이칭/별칭 장사샘 전설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집필자 서해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설화|구비전승
구분 신이담
주요 등장인물 장사
관련지명 강진|영산리|사천리|방죽골
모티프 유형 힘겨루기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에 있는 장사샘에 관해 전해 오는 이야기.

[개설]

「장수샘 전설」은 이씨 문중에서 4대에 걸쳐 장사가 나왔는데, 4대 중 마지막 장사는 특히 힘이 셌다고 하며, 이렇게 힘이 센 것은 장사샘 때문이라는 내용의 이야기이다.

[내용]

지금으로부터 그렇게 멀지 않은 옛날, 이씨 문중에 일대호걸 장사가 4대나 계속 나왔는데, 목구(木臼)[나무절구통]를 한 손으로 집어던질 정도로 힘이 셌다. 4대 장사 중 제일 마지막 장사가 강진에 다니러 갔다가 때마침 추석이라 씨름판이 벌어진 곳을 지나게 되었다.

이미 상씨름이 결판이 나서 황소를 탄 저쪽 장사가 이 장사를 보더니, 힘깨나 씀 직하게 보였던지 “너 나하고 씨름 한번 하자.” 하며 단판 승부를 청했다. 이 장사는 “씨름을 하는 거야 싫지 않소만, 잡을 데가 있어야 씨름을 하지.” 하였다.

저쪽 장사가 속도 모르고 “띠로 허리와 다리를 감으면 되지.” 하자, 이 장사가 “허어, 고따윗것 감아서 씨름이 되오.” 하면서 해변의 닻줄을 손수 끊어다 자기 몸에 틀어 감고는 “자, 이리 오시오. 한판 해봅시다.” 하였다. 이것을 본 저쪽 장사나 근방 사람들이 기겁을 하고 달아나버려서, 이 장사는 유유히 황소를 몰고 집으로 돌아왔다고 한다.

후대 사람들이 4대 장사가 살았던 방죽골에서 장사샘을 찾으려고 애를 썼지만 영영 찾지 못했다고 한다.

[의의와 평가]

「장수샘 전설」은 이씨 문중에서 4대에 걸쳐 장사가 나왔는데, 그것이 모두 방죽골 샘물인 장사샘 때문이라는 이야기이다. 특히 마지막 장사는 힘이 대단하여 씨름판에서 해변의 닻줄을 끊어다가 잡는 모습만 보고도 모두 기겁하여 도망갔다는 활약담이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이 장사샘은 의신면영산리사천리 사이 방죽골에 있던 샘으로, 이후 사천리 저수지를 막으면서 없어졌다고 한다. 비록 샘은 없어졌으나 그 샘에 얽힌 장사 이야기가 신이담으로 구전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