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지심뫼 전설」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1409
영어음역 Jisimmoe Jeonseol
영어의미역 Jisimmoe Legend
이칭/별칭 지신뫼 전설,산이동 전설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용장리
집필자 서해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설화|구비전승
구분 산이동담
주요 등장인물 도사|임신한 여자
관련지명 용장리|목넘어|관음봉
모티프 유형 거인 설화|산 이동 설화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용장리에 있는 지심뫼에 관해 전해 오는 이야기.

[개설]

「지심뫼 전설」은 ‘도사’라는 신령한 존재가 산을 움직이려 했으나 임신한 여인으로 인해 실패하게 되었다는 내용으로, 진도군 지산면 길은리에서 전해지는 「이음바위 전설」과 유사하다.

[내용]

지심뫼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용장리 동쪽에 있는 산으로, 산꼭대기가 서쪽 방향으로 쑥 불거져 나온 모양을 하고 있다.

아득한 옛날, 어느 도사가 이 산의 뾰족하게 나와 있는 부분을 잘라서 지금의 둔전저수지 밑에 있는 방조제 자리로 옮기려고, 현재 ‘목넘어’로 불리는 관음봉 밑을 잘랐다. 그러고는 회초리를 들고서, “가자, 가자, 어서 가자.” 하고 짐승을 몰 듯 내려치자 산이 움직이기 시작하였다.

잘린 산이 막 움직이려는 찰나, 임신을 해서 배가 ‘섬덩이’만한 여자가 때마침 이런 모양을 보고는 “어허, 산이 다 걸어가네!” 하고 소리쳤다. 산만 보느라 여념이 없던 도사가 임신한 여자의 모습에 몹시 낙심하며, “요망스런 계집년, 보지를 말거나 보려거든 애기나 배지 말거나.” 하면서 회초리를 집어던졌는데, 그 순간 도사의 모습이 온 데 간 데 없이 사라져버렸다.

도사가 사라지자 움직이던 산은 그 자리에 멈추어 섰으며, 그때 도사가 잘랐다고 하는 부분은 북쪽과 남쪽을 연결하는 소로(小路)로 이용된다고 한다. 또한 산을 자를 때 흘러나온 하얀 피〔白血〕로 인하여 지금도 그곳에서는 백토(白土)가 난다고 전한다.

[의의와 평가]

「지심뫼 전설」은 도사가 산을 옮기려고 하는데 임신한 여자가 나타나서 결국 산을 옮길 수 없었다는 내용으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산 이동 설화의 한 유형이라 할 수 있다.

「지심뫼 전설」에서는 ‘도사’라는 거인이 등장하며 여느 전설과 마찬가지로 임신한 여인으로 인해 실패하게 된다. 특히 이런 유형의 이야기는 주어진 자연환경과 문화적 요인에 맞게 발전하는데, 이 전설에서는 바다를 막아 농토를 만들고 싶어 하는 사람들의 바람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산 이동 설화에서 빼놓지 않고 등장하는 인물이 임신한 여자인데, 여성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와 함께 임신을 부정하고 속된 행위로 인식하는 민간신앙적 사고가 반영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