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진도 검정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501424
한자 珍島-
영어공식명칭 Jindo Black Health Rice
영어음역 Jindo Geomjeongssal
이칭/별칭 진도 흑미,진도 검정약쌀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음식물/음식물
지역 전라남도 진도군
집필자 김준박종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특산물|곡류
유래지 전라남도 진도군
계절 상시
제조(생산)시기 1991년 재배, 보급연표보기

[정의]

전라남도 진도 지역에서 재배되는 겉이 검은색을 띠는 특산 쌀.

[개설]

흑미는 중국 품종이 전세계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종류는 수백 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0여 종의 흑미가 재배되고 있으며 그 품종에 따라 색깔에 큰 차이를 나타낸다. 검은색의 정도가 진한 것에서부터 연한 것, 검은색과 검붉은색이 혼재하는 것이 있다. 보통 검정약쌀을 줄여 검정쌀이라 한다.

[연원]

흑미는 중국 남부지방에서 야생하던 것을 2000여 년 전에 재배하기 시작한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도 중국에서 흑미가 유입되어 진도군을 중심으로 대량 재배하기 시작했다.

[용도]

진도군 일대에서 생산되고 있는 검정약쌀은 독특한 향과 끈끈한 찰기가 있어 일반 쌀에 1/10 정도 섞어 밥을 지으면 고소한 냄새가 난다. 압력밥솥을 사용할 때는 일반 쌀로 밥 짓는 요령과 비슷하고, 전기밥솥을 사용할 때는 물에 한 시간 정도 불린 후 사용하면 된다.

[효능]

진도의 청정지역에서 저농약 사용 재배(진도군수 품질인증)된 검정약찹쌀(흑미)은 일반 쌀에 비해 비타민 B와 E가 4배 이상 함유되어 있으며, 당뇨병 등 성인병 예방과 위장병 및 미용에도 효능이 있다. 또 약찹쌀로 인절미를 만들어 먹으면 쫄깃한 맛과 향이 일품이다.

[현황]

최근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을 중심으로 다양한 흑미의 육종, 재배에 관한 기술 개발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재배지역도 강원, 충청북도, 부산, 경기 등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진도 등지에서 생산되는 검정 찹쌀은 1차 가공을 하면 현미로 검정색을 띠고, 2차 가공을 하면 일반 찹쌀과 같이 흰색을 띤다. 진도에서 생산되는 검정쌀의 맛이 좋은 것은 진도 특유의 해양성기후와 유기질이 풍부한 간척지, 그리고 충분한 일조량이 요인일 것으로 짐작된다. 진도 검정쌀은 지리적표시 제84호로 등록되어 있다. 진도에서 생산된 검정쌀은 흑미밥, 흑미죽, 흑미떡, 흑미빵, 케이크, 국수, 과자, 소시지, 흑미주, 아이스크림, 흑미차, 피자, 주방 세제, 화장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 『진도군지』 (진도군·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 2007)
  • 진도군청(https://www.jindo.go.kr/home/main.cs)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