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501768 |
---|---|
한자 | 袈裟群島傳說 |
영어음역 | Gasagundo Jeonseol |
영어의미역 | Legend of Gasa Islands |
이칭/별칭 | 조도5군도 전설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가사도리 |
집필자 | 서해숙 |
성격 | 지명 유래담 |
---|---|
관련지명 |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가사도리 |
[정의]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가사도리에 속한 크고 작은 섬에 관해 전해 오는 이야기.
[개설]
「가사군도 전설」은 조도면 가사군도 일대의 불도, 주지도, 양덕도, 공도, 광대도 등 섬의 이름과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들로, 일부 섬은 불교적 색채를 띠고 있다.
[내용]
가사군도에는 크고 작은 섬이 많은데, 이들 섬의 형상에서 연유한 다음 이야기가 전해진다. 불도는 섬 봉우리에 있는 동백나무가 부처님을 닮고, 섬 모양이 목탁 형상을 하고 있어 ‘부처섬’이라고 부른다. 또한 섬의 서쪽 해변에 자연적으로 생긴 30m 높이의 다도탑이 서 있는데, 파도가 치면 목탁 소리를 낸다고 하여 예로부터 불교 신자들이 수도처로 이용하기도 한다.
주지도는 섬 중앙에 있는 바위가 상투, 손가락, 남근 모양을 하고 있어 ‘상투섬’, 또는 ‘손가락섬’이라고 부른다. 양덕도는 섬의 형상이 발가락을 닮아서 ‘발가락섬’이라고 부른다.
공도는 섬의 지형이 활모양처럼 생겨 ‘활목섬’이라고도 하며, 대포를 맞은 것처럼 구멍이 뚫린 섬이라 하여 ‘공도(孔島)’라고 불리기도 한다. 한편 광대도는 광대가 춤추는 형국을 하고 있어 ‘광대도’라 부르는데, 소나무와 동백나무가 울창하고 섬 전체 모양이 사자 한 마리가 앉아 하품을 하고 있는 형상이어서 ‘사자섬’이라고도 부른다.
[의의와 평가]
「가사군도 전설」은 각각 섬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지명 전설로, 누대에 걸쳐 그 섬에 살았던 사람들의 은유와 상징을 확인할 수 있다. 가사군도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순연한 자연 본래의 모습을 보고서 그들만의 다양한 상상과 이미지를 투영시킨다. 그래서 섬이 부처의 형상이 되거나 목탁 형상, 상투 모양, 손가락 모양, 발가락 모양, 활모양, 광대가 춤추는 모양, 사자가 하품하는 모양 등으로 표출된다. 비록 단순한 이야기일지라도 이러한 전설을 통해 그 일대에 살았던 사람들의 판타지적 문학세계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